[HealthCare] HL7 FHIR 완전 정리


HL7 FHIR 완전 정리

헬스데이터 스타트업이라면 FHIR은 반드시 이해해야 할 표준이다.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는 HL7이 v2, v3, CDA의 교훈을 바탕으로 만든 최신 국제 표준이다.


1. FHIR이란?

  • 풀네임: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HL7이 2014년부터 개발한 차세대 표준 (현재 R5까지 출시)
  • 웹/모바일 친화적인 설계를 목표로 함
  • JSON, XML, RDF 형식 지원 (주로 JSON 사용)
  • REST API, GraphQL, 메시징 등 다양한 통신 방식 지원

2. 왜 FHIR인가?

  • v2 → 단순하지만 병원마다 제각각
  • v3 → 구조적이지만 너무 복잡해서 실패
  • CDA → 문서 교환에는 성공했지만 실시간 데이터 교환 한계

➡️ FHIR은 이 모든 문제를 개선했다.

  • 직관적인 JSON 구조
  • 리소스(Resource) 단위 설계 (Patient, Observation, Encounter 등)
  • RESTful API로 쉽게 통신 가능
  • Implementation Guide(IG), 프로파일링/검증 도구 제공

3. FHIR 리소스(Resource)

FHIR의 핵심은 리소스(Resource) 개념이다.
각각의 리소스가 의료 개념(환자, 진단, 검사 결과 등)을 표현한다.

대표적인 리소스:

  • Patient : 환자 정보
  • Observation : 검사 결과, 활력징후
  • Encounter : 진료/입원 방문
  • Condition : 진단명
  • MedicationRequest : 처방
  • DocumentReference : 문서 (CDA와 연결됨)

4. FHIR JSON 예시

4-1) Patient 리소스

{
  "resourceType": "Patient",
  "id": "12345",
  "name": [{ "family": "Kim", "given": ["Minjun"] }],
  "gender": "male",
  "birthDate": "1990-01-01",
  "address": [{ "city": "Seoul", "country": "KR" }],
  "telecom": [{ "system": "phone", "value": "010-1234-5678" }]
}

4-2) Observation 리소스 (혈압)

{
  "resourceType": "Observation",
  "id": "bp-001",
  "status": "final",
  "category": [{ "coding": [{ "system": "http://terminology.hl7.org/CodeSystem/observation-category", "code": "vital-signs" }] }],
  "code": { "coding": [{ "system": "http://loinc.org", "code": "85354-9", "display": "Blood pressure panel" }] },
  "subject": { "reference": "Patient/12345" },
  "effectiveDateTime": "2025-08-26T10:30:00+09:00",
  "component": [
    {
      "code": { "coding": [{ "system": "http://loinc.org", "code": "8480-6", "display": "Systolic blood pressure" }] },
      "valueQuantity": { "value": 120, "unit": "mmHg", "system": "http://unitsofmeasure.org", "code": "mm[Hg]" }
    },
    {
      "code": { "coding": [{ "system": "http://loinc.org", "code": "8462-4", "display": "Diastolic blood pressure" }] },
      "valueQuantity": { "value": 80, "unit": "mmHg", "system": "http://unitsofmeasure.org", "code": "mm[Hg]" }
    }
  ]
}

5. FHIR의 장점

  • 현대적 개발환경과 친화적: REST API, JSON, GraphQL 지원
  • 모듈성: 필요한 리소스만 조합해 사용
  • 프로파일링: 각 나라/기관이 자신만의 Implementation Guide(IG)를 정의 가능
  • 검증 도구 풍부: IG Publisher, HAPI-FHIR, Firely 등
  • 상호운용성 확보: 코드 체계(LOINC, SNOMED CT 등)와 연계

6. 실제 활용 사례

  • 미국 ONC/Meaningful Use: FHIR을 국가적 표준으로 지정
  • 애플 HealthKit: FHIR 기반 API로 병원과 데이터 연동
  • Google Cloud Healthcare API, Microsoft Azure Health Data Services: 클라우드 벤더들이 FHIR API 기본 제공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주도로 국가 EHR·PHR 사업에서 FHIR 채택 확산 중

7. 정리

  • FHIR은 HL7의 최신 표준으로, v2·v3·CDA의 장점을 모으고 단점을 극복했다.
  • JSON/REST 기반으로 직관적이고 개발자 친화적이다.
  • 이미 글로벌 빅테크와 각국 정부가 채택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의료 데이터 교환 표준은 사실상 FHIR로 수렴 중이다.

👉 요약하면, FHIR은 현재와 미래 의료 데이터 교환의 핵심 표준이다.


Author: Ruby Kim
Reprint policy: All articles in this blog are used except for special statements CC BY 4.0 reprint policy. If reproduced, please indicate source Ruby Kim !
Comments
 Current
[HealthCare] HL7 FHIR 완전 정리 [HealthCare] HL7 FHIR 완전 정리
최신 의료 데이터 표준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을 정리했다. JSON 기반 구조, 주요 리소스, 실제 예시, 그리고 활용 사례까지 한눈에 본다.
Next 
[HealthCare] HL7 CDA 표준 정리 [HealthCare] HL7 CDA 표준 정리
HL7 v3에서 파생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가 무엇이고, 왜 지금까지도 병원·보험·국가사업에서 쓰이는지 정리했다.
  T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