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개발한 사이트, 애드센스 등록 성공!


예전부터 직접 만든 사이트에 애드센스를 달아보고 싶었는데, 이번에 애드센스를 무사히 통과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었고, 심사를 위해 어떤 부분을 신경 썼는지, 그리고 실제 심사 전략까지 기록해본다.
검색해보니까 대부분 github page template이나 tistory써서 이런 글은 많이 없더라.. 글 많이 써주세요 동료님들 🥹


도메인 전략: 루트도메인 vs 서브도메인

2024년까지는 애드센스가 서브도메인도 개별 등록 대상이었다.
하지만 규정이 바뀌면서 2025년부터는 루트 도메인만 등록하면 서브도메인 전체에 적용 가능하다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나는 anb-network.com이라는 도메인을 개인사업자 홍보용 사이트로 사용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애드센스 심사 페이지로 쓰기에는 다소 상업적 냄새가 강할 것이라 판단했다.

그래서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 서브도메인으로 따로 제작한 mentoring-career.anb-network.com 사이트를 잠시 루트 도메인에 업로드해 심사를 진행했고, 애드센스가 통과되자 다시 서브도메인으로 돌려놓았다.
이 방식은 심사 과정에서 상업성 판단을 회피하는 전략으로 꽤 유효했던 것 같다.


프론트엔드 구조: SSR (서버사이드 렌더링) 선택 이유

Next.js를 사용했고, 기본 설정은 app router 기반 SSR이었다.
정적 페이지보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이 콘텐츠 신뢰도와 구조화된 데이터 면에서 유리하다는 글을 많이 참고했고, 실제로 metadata 구조가 깔끔하게 반영되는 것도 SSR의 장점 중 하나였다.

실제로 <head> 내부에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포함시켰다:

export const metadata = {
  title: "알아보기 |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description: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하는 일, 필요한 기술, 진로 정보, 하루 일과 등을 친절하게 소개한 사전 수업용 진로 가이드입니다.",
  keywords: ["클라우드 엔지니어", "진로 정보", "IT 진로", "클라우드 기술", "DevOps", "SRE", "플랫폼 엔지니어", "하루 일과", "진로체험", "사전 학습", "AI 시대 클라우드"],
  alternates: { canonical: "https://mentoring-career.anb-network.com/info" },
  robots: { index: true, follow: true },
  openGraph: { type: "article" }
}

심사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단순히 키워드가 아니라, 페이지마다 고유의 타이틀과 설명, index/follow 로봇 태그를 명시했다는 점이다.


사이트 구조 및 페이지 수 고려

애드센스는 심사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인지를 상당히 엄격하게 본다.
그 기준 중 하나가 페이지 수기초 페이지의 존재 여부다.

나는 다음 3개의 필수 페이지를 구성했다:

  • /about – 사이트 운영 목적과 배경 설명
  • /privacy – 개인정보 처리방침
  • /terms – 이용 약관
  • /contact – 이메일 기반 문의처는 페이지 없이 mailto로 간단하게 구성했다.

그 외에 메인 콘텐츠 페이지는 최소 3개 이상으로 구성했다:

  • /info – 직업 소개 / 진로 가이드
  • /deploy – 클라우드 배포 실습
  • /game – 클라우드 엔지니어 시뮬레이션 게임. 직접 js로 간단한 카드게임을 구현했다.

실제로 콘텐츠 페이지가 1~2개뿐이면 거절 사례가 많다는 글을 많이 봤기에,
최소 3개 이상의 콘텐츠를 확보하려 노력했다.


기타 체크한 항목들

  • sitemap.xml 직접 생성하여 Google Search Console에 제출
  • robots.txt 작성
  • RSS는 제출하지 않음: 직업 체험 사이트 특성상 자주 업데이트되지 않기 때문
  • 모든 페이지의 헤더, 푸터 일관성 유지
  • 모바일 대응 + 기본적인 반응형 처리 완료: 일일이 만들기 귀찮아서 tailwind로 처리
  • 광고단위 생성 및 활용: 광고 노출 시 원하는 형태의 광고를 송출할 수 있도록 세팅

이 모든 항목들을 고려해서 그런지, 심사를 요청한지 약 18시간 만에 바로 합격을 받을 수 있었다!


통과 이후 전략

애드센스가 통과된 이후, 루트 도메인(anb-network.com)은 원래 목적대로 개인사업자 홍보용으로 구성했다.
심사를 위해 잠시 루트 도메인에 걸었던 직업 체험 사이트는
서브도메인(mentoring-career.anb-network.com)으로 다시 돌려서 운영 중이다.

애드센스 코드 자체는 서브도메인에 삽입해도 정상 노출된다.
동일하게 ads.txt를 생성하고, 루트도메인의 ads.txt내용을 그대로 복붙하면 된다.


마무리

나도 이전에는 맨날 오픈소스 템플릿만 가지고, 혹은 티스토리로 애드센스를 도전했는데,
이번에 애드센스 승인 사이트를 직접 만들면서 특히 SEO관점에서 많은 성장을 한 것 같다.

혹여나 직접 만든 사이트에 애드센스를 달 예정이신 분들이 계시다면 도움이 되길 바란다 🍀


Author: Ruby Kim
Reprint policy: All articles in this blog are used except for special statements CC BY 4.0 reprint policy. If reproduced, please indicate source Ruby Kim !
Comments
  TOC